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8)
몰농도, 몰랄농도 개념 헷갈리지 않고 외우기 안녕하세요, 이번글에서는 필수적인 화학개념인 몰농도와 몰랄농도에 대해 다뤄보려고 합니다. ※몰농도, 몰랄농도 설명에 앞서서 용매, 용질, 용액에 대한 개념입니다. 용매, 용질, 용액도 헷갈리는 개념중 하나죠 대게 용매는 액체이고 용질은 고체로 용질이 용매에 녹아서 용액이 됩니다. 용액은 용매와 용질은 함께 지칭하는 말입니다. 1. 몰농도(Molarity): 먼저 몰 농도는 용질의 몰수/용액의 부피입니다. 용액의 부피는 리터, 용질의 몰수는 몰단위를 이용합니다. 용액 1L에 용질 1몰 이면 1 M입니다. 2. 몰랄농도(Molality): 다음으로 몰랄농도입니다. 용질의 몰수/용매의 질량입니다. 몰농도와 분자는 동일합니다. 용매 1kg에 용질 1몰이 들어있다면 이때의 농도는 1 m입니다. 저는 몰농도와 몰랄..
엑셀(Excel) 꿀팁: 여러 셀에 식 복사해 붙이는 방법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엑셀에서 여러 셀에 동일한 식을 복사해서 붙여넣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식을 복사하는 방법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아마도 '드래그 하기'일것 같습니다. 셀의 갯수가 적은경우 이 방식을 사용하는것이 간편하죠~! 드래그를 위해서는 식 복사를 원하는 셀을 클릭하고 ctrl+c를 해줍니다. 그리고 나서 마우스 커서를 셀 오른쪽 하단에 가져가면 +모양이 나타나는데 이때 클릭후 쭉 아래로 드래그를 해주면 됩니다. 물론 '드래그 하기'로도 식 복사가 가능하지만 동일한 식을 붙여 넣어야 하는 셀의 갯수가 많아지면 '드래그'로는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리게 됩니다...ㅠㅜ 이때 사용할수 있는 방법은 바로 '단축기 이용하기'입니다. 예를 들면, 아래의 경우처럼 한 열을 이용해서 다른 열에 계산값을..
손쉽게 논문 인용 표기하는 방법! 대학생활을 하다보면 보고서나 기타 과제를 하면서 논문 인용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도 지난학기에 과제를 여러개 하면서 수많은 논문을 봤고(ㅠㅠ) 이 논문들을 보고서의 제일 마지막 부분인 "참고문헌" 부분에 차례대로 정리를 했었는데 바로 이때 논문 인용 표기 쉽게 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보려고 합니다. 1. 구글 스칼라로 접속한다. Google 학술 검색 COVID-19에 관한 기사 거인의 어깨에 올라서서 더 넓은 세상을 바라보라 - 아이작 뉴턴 죄송합니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지 않으면 일부 기능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최적의 � scholar.google.com 2. 검색창에 참고한 논문의 제목을 검색한다. 3. 해당 논문의 하단에 있는 " 모양을 클릭한다. 4. MLA, AP..
고분자(Polymer): 고분자 관련 기본 용어 (conformation/ configuration/ isomerism/ thermoplastic/ thermoset) 이번 글에서는 고분자 관련 기본 용어들을 정리하였다. 소개할 용어들은 homopolymer/heteropolymer/homo chain polymer/hetero chain polymer/conformation/configuration/isomerism/thermoplastic/thermoset 순서이다. homopolymer: 반복되는 단량체, monomer, 가 한종류만 있는 고분자를 뜻한다. heteropolymer: 반복되는 단량체가 두 종류 이상인 고분자를 뜻한다. ※여기서 고분자의 정의는? 고분자란 반복단위인 단량체가 공유결합에 의해서 긴 사슬모양을 이루며 결합해있는 거대 물질을 뜻한다. 대게 단량체가 100개 이상이 결합해있으면 이를 고분자라고 칭한다. homo chain polymer: 주..
고분자(Polymer): 유리전이온도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와 녹는점 Tm(Melting Temperature) 오늘의 과목: 고분자재료물성 유리전이온도 Tg (glass transition temperature)란? 일단은 유리전이온도를 정의하기에 앞서서 결정질 고분자(crystalline polymer)와 비정질 고분자(amorphous polymer)를 정의할 필요가 있다. (결정질과 비정질의 정의는 고분자 뿐만 아니라 금속, 세라믹 등의 다른 물질에서도 사용가능한 정의이다.) 먼저 결정질이란 물질 내부에 일정한 구조, 즉 규칙적 배열이 넓은 범위에서 존재하는 상태이며 비정질이란 물질 내부에 규칙적인 구조가 존재하지 않거나 규칙적인 배열이 매우 일부구간 존재하는 상태를 말한다. 비정질 고분자는 불규칙한 배열로만 이루어져있고 결정질 고분자는 사실 준결정성 고분자로 칭하는것이 더 정확한데 이 이유는 모든 결정질 ..
Fortran(포트란): subprogram인 function과 subroutine 포트란에는 두가지 subprogram이 있다. 이는 1. function과 2. subroutine이다. 1. function 1.1 built in function: 포트란 프로그램이 이미 보유하고 있어서 그냥 써도 되는 function 예를 들면, sin, cos, tan...등등이 있다. 1.2 user defined function: 포트란 프로그램이 보유하고 있지 않은 말그대로 사용자인 우리가 직접 정의해주는 function이다. (user defined function을 사용하는 예시) program test6 real a, b, c a=2. b=4. c=sum(a,b) write(*,*) c pause stop end real function sum(a,b) sum=a+b return end..
Fortran(포트란): Pi값 정확하게 정의하는 방법 포트란을 사용하다보면 pi값을 정확하게 입력해야한다. 포트란이 'pi'를 그냥 알아서 인식하지 못하므로 직접 입력을 해줘야한다. 초반에 공부를 할때는 real pi pi=3.14...... 이런식으로 정의했으나 이건 부정확한 방법이다. 정확한 방법은 아래와 같이 atan()를 이용하는것이다. real pi pi=4.0*atan(1.0) 이렇게 정의하면 완벽하게 pi를 정의할수 있다. ※위에서 4가 아니가 4.0이라고 쓰는 이유는 4가 integer가 아니라 real number임을 알려주기 위한것이다. integer와 integer가 연산이 되면 integer가 나오는데 그러면 우리가 원하는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기 때문이다. 굳이 4.0 이렇게 적지 않고 4. 이런식으로 4뒤에 .만 찍어주면 된다. 1...
"Rosalyn의 재료공학 이야기방"을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현재 대한민국 서울에 위치한 한 대학교의 신소재공학부에 재학중인 재료공학도 Rosalyn이라고 합니다. 기존에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다가 보다 더 전문성 있는 블로그를 키우고 싶어서 티스토리 블로그인 "Rosalyn의 재료공학 이야기방"을 개설하게 되었습니다. (1) 앞으로 본 블로그에서는 제가 대학교에서 배운 혹은 배우고 있는 내용들에 대해서 다양하게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재료공학도들이라면 누구나 배우는 재료구조물성/재료전자기물성/재료기계물성 등 기초 과목들부터 반도체재료/반도체공정 등의 반도체 과목들, 그리고 저의 관심분야인 커패시터와 이차전지에 대해 다루는 전기화학/에너지재료/전자재료 등에 대해서 포괄적으로 다뤄보려고 합니다. (2) 또한 현재 대학원을 진학을 희망하고 있기에 대..